본문 바로가기
메모 독서법

책 읽기, 필사, 인용이 글쓰기 향상과 상관이 없을까?

by 지평(地平) 2017. 9. 24.

‘알고 보면 글쓰기 향상과 상관없는 3가지 활동들’ 이라는 글을 ㅍㅍㅅㅅ 에서 보았습니다. (원문 링크 http://ppss.kr/archives/74642)

이 글에서는 글쓰기 향상과 상관없는 3가지 활동으로 ‘책 읽기’, ‘필사’, ‘인용’을 꼽고 있습니다.

글쓰기 방법을 알려주는 책에서 권장하는 활동이지요. 그런데 글을 쓴 김재성 님은 이 3가지 활동이 글 쓰는 실력에 크게 영향을 주지 않는다고 주장합니다. 과연 그럴까요?

책 읽기

(‘알고 보면 글쓰기 향상과 상관없는 3가지 활동들’ 에서 인용)

많은 사람이 책을 많이 읽어야 글을 잘 쓴다고 하는데, 어느 정도 도움이 될 수는 있을지언정 글쓰기와 직결되는 이야기는 아닌 것이다. 영어에서 독해와 글쓰기를 잘 하면 어느 정도 스피킹에 도움이 되지만, 독해와 글쓰기를 잘 한다고 해서 반드시 스피킹을 잘하지는 않는 것과 마찬가지다.

글을 쓰는 것은 글을 읽는 것과는 별개의 영역이다. ‘글 읽기’는 글의 주제를 다채롭게 해줄 수는 있지만 글 자체를 잘 쓰게 해주는 것은 아니다.

글을 잘 쓴다는 건 어떤 것일까요? 글에 담긴 생각이 훌륭하고, 그 생각을 문장으로 잘 표현하는 게 글을 잘 쓰는 것이겠죠. 형식(문장)과 내용(생각)이 모두 훌륭해야 좋은 글입니다. 글의 형식, 문장만 훌륭하다고 좋은 글이라고 볼 수 없습니다. 그런데 좋은 생각은 어떻게 나올까요?

몽테뉴는 책을 읽는 이유에 대해 이렇게 말했습니다.

“그 다양한 내용을 읽는 것이 나의 생각하는 능력을 자극하기 때문이다”

    - 몽테뉴

책 읽기는 ’글의 주제를 다채롭게 해줄 수 있는’ 데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읽는 이의 생각을 자극해 글의 내용(생각) 자체를 끌어내는 중요한 과정입니다.

많은 작가들이 책 읽기가 중요하다고 말하는 이유가 어디에 있을까요? 책 읽기를 통해 자기 생각을 이끌어 낼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그것이 결국 글에 담는 내용의 질을 높인다는 것을 알기 때문이고요.

김재성 님은 이렇게 이야기합니다.

‘쓰자, 무조건 많이 쓰자’

맞는 말입니다. 글쓰기는 써야 느니까요. 하지만 생각의 질을 높이지 않고 무작정 쓰기만 한다고 해서 좋은 글이 나올까요? ’책 읽기’가 글쓰기와 직결되지 않는다고 이야기하는 것은 글쓰기를 문장을 만드는 일로만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문장을 잘 쓰는 것만으로 좋은 글이 나오지 않습니다. 글에 담을만한, 가치있는 생각이 먼저 있어야 합니다. 생각의 질을 높이는데 책 읽기는 없어서는 안 될 과정입니다. 작가들이 책을 쓸 때 수십, 수백 권의 참고 도서를 읽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습니다.

필사

(‘알고 보면 글쓰기 향상과 상관없는 3가지 활동들’ 에서 인용)

필사를 많이 하면 글 실력이 늘리라는 것 역시 대표적인 착각 중 하나다. 필사라는 것은 분명히 ‘쓰는’ 활동이지만, 사실상 머릿속에서 일어나는 활동은 ‘읽기’와 아무것도 다를 게 없다. 다시 말한다면, 그냥 조금 더 ‘조심스럽게 읽는’ 활동일 뿐이다.

따라서 1번과 마찬가지로 인풋에 해당하는 활동을 하는 것이기 때문에, 필사가 글 실력을 늘려준다는 것은 착각에 가깝다. 물론 필사하면서 다양한 글을 읽게 되고 다양한 표현들을 ‘보게’ 되는 것은 맞지만, 그것이 당신의 머리를 거쳐 당신의 손으로 ‘창작’된 것이 아닌 이상, 그저 필사는 ‘조금 더 조심스럽게 책 읽기’에 그칠 뿐이다.

필사에 대해서는 서로 다른 의견이 많습니다. 필사가 글쓰기에 도움이 된다고 말하는 사람도 많고 그렇지 않다는 사람도 많습니다. 그건 필사라고 해도 모두가 똑같은 방식으로 필사를 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입니다.

필사도 ‘어떻게’ 하느냐가 중요합니다.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필사가 글쓰기에 도움이 될 수도 있고 안 될 수도 있습니다.

기자로 처음 입사를 하면 신입사원 수습 기간에 선배 기자들의 기사를 필사하면서 기사 쓰는 법을 배운다고 합니다. 모범이 되는 기사를 필사하면서 글의 구조, 문장의 표현을 어떻게 하는지 공부하는 것이죠. 아무 생각 없이 그냥 베끼기만 하는 필사는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의식적으로’ 문장을 관찰하고, 글의 구조를 파악하면서 하는 필사는 글쓰기 실력을 늘리는 데 분명 도움이 됩니다.

한국출판마케팅연구소 한기호 대표는 블로그에서 이렇게 이야기합니다.

인풋이 많아야 아웃풋이 제대로 될 수 있다. 많이 읽어야 좋은 글을 쓸 수 있다는 뜻이다. 다치바나 다카시가 이런 주장을 했었다. 그러나 글쓰기 달인이자 국어교사인 스즈키 신이치는 『쓰는 힘은 읽는 힘』(위즈덤하우스)에서 주변을 살펴보면 일 년에 수백 권을 읽는 다독가라도 막상 자신의 글을 쓰는 데 서툰 경우를 많이 찾을 수 있다고 말한다. 그렇다면 똑같이 책을 읽어도 ‘글을 잘 쓰는 사람’과 ‘글을 못 쓰는 사람’으로 갈리는 이유는 무엇일까? 저자는 읽기의 차이가 글쓰기의 차이를 만든다고 강조한다. 


저자는 끝까지 읽는 습관이 언어의 감각을 키운다고 말한다. 그가 제시하는 올바른 읽기법이란 끝까지 읽으면서 글쓰기의 기본인 문장의 원리를 제대로 익히고, 문장의 원리가 어떻게 작용하는지 살펴봄으로써 특별한 연습 없이도 글쓰기 실력이 향상되는 비법을 확인할 수 있다고 한다.

출처 블로그 한국출판마케팅연구소 “읽기의 차이가 글쓰기의 차이를 만든다”

http://m.blog.naver.com/khhan21/220353159089

책을 무작정 많이 읽는다고 글쓰기에 도움이 되는 것이 아니라는 이야기입니다. 책의 문장을 끝까지 읽는 습관이 언어의 감각을 키워주고, 글쓰기 실력의 향상으로 이어진다고 합니다. 책의 문장을 끝까지 읽는 습관은 어떻게 만들 수 있을까요? 필사를 통해서도 가능합니다. 필사하기 위해서는 문장을 처음부터 끝까지 꼼꼼하게 읽어야 하니까요.

조선 시대의 실학자이며 <여유당전서>를 쓴 다산 정약용이 엄청난 저작을 남긴 것은 그의 특별한 독서 방법 덕분이었습니다.

정약용의 독서 방법

  • 정독 : 정성 들여 자세히 읽는 것
  • 질서 : 읽으면서 생각을 메모하는 것
  • 초서 : 책 구절 옮겨 적기

정약용의 독서방법은 세 종류다. 정독, 질서, 초서다. 하나씩 보자. 먼저 정독은 뜻을 새겨가며 정성 들여 자세히 읽는 것이다. 질서는 읽으면서 메모하는 것을 말한다. 책을 읽다 보면 이런저런 생각이나 아이디어가 떠오른다. 그 생각들이 달아나기 전에 종이에 기록하는 것이다. 묘계질서의 준말로 묘계는 번쩍하면서 깨닫는 것을 말한다. 가장 중요하며 다산 스타일 독서의 핵심은 초서다. 책을 읽다가 중요한 구절이 나오면 그대로 옮겨 적는 것이다. 베껴 쓰기와 비슷하지만 조금 다른 것은 좋다고 무작정 베끼는 게 아니라 그 책을 읽는 목적에 부합하는 것만 베끼는 것이다.


<차라리 죽지 그래> 남정욱 저, p203

정약용의 독서 방법 중 초서는 책을 읽는 목적에 부합하는 부분만 ‘필사’를 하는 것입니다. 이렇게 ‘초서’를 통해 모아둔 자료와 읽으면서 생각을 메모하는 ‘질서’를 통해 정약용은 글을 썼습니다. 제가 <메모 습관의 힘>에서 소개한 ‘메모 리딩’이 바로 초서와 질서의 결합이고요.

필사는 단순히 문장을 베껴 쓰는 것이 아닙니다. ’필사’는 글의 구조, 문장 표현을 익히는 과정이며 글쓰기의 재료를 수집하는 방법이기도 합니다.

인용

(‘알고 보면 글쓰기 향상과 상관없는 3가지 활동들’ 에서 인용)

멋있는 말이나 명언 등을 여러 개 매일매일 모으는 것은 문장을 만들지 못하는데 영어 단어만 열심히 외우는 것과 비슷한 행동이다. 그 ‘인용’을 통해서 당신이 느끼는 것이 ‘멋있다’ ‘반성해야겠다’ ‘공감한다’ 정도라면, 이는 당신이 전 세계 여행을 하고 돌아와 느낀 점을 ‘집이 최고’라는 수준으로 말하는 것과 같은 수준의 표현이라는 점이다.

페이스북에 달리는 ‘좋아요’와 당신의 댓글이 무슨 차별점이 있는가? 인용은 분명 글을 맛깔나게 만들어가는 요소 중 하나이지만, 인용 자체만으로는 그 어떤 실력도 발전할 수 없다.

‘인용’도 ‘필사’와 마찬가지입니다.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다른 결과를 만듭니다. 글쓴이의 말대로 단지 문장을 모으는 것만으로는 글쓰기에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멋진 문장이나 명언을 노트에 옮겨 적거나 페이스북에 인용하는데 그치지 말고, 여러 번 읽으면서 그 문장에 담긴 의미를 깊이 숙고하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배움의 시작은 읽기에 있지만, 그 절정은 묵상에 있다.”

  • 후고 Hugues de Saint Victor

은유 작가의 <쓰기의 말들> 책에는 인용한 문장들이 가득합니다. 책 자체가 여러 책에서 발췌한 문장을 책의 왼쪽 페이지에 인용하고, 오른쪽 페이지에 그 문장을 실마리로 쓴 작가의 글을 실은 구성입니다.

은유 작가는 서문에서 이렇게 말합니다.

다독가라기보다 문장 수집가로, 서사보다 문장을 탐했다. 우표 수집가가 우표를 모으듯 책에서 네모난 문장을 떼어 내 노트에 차곡차곡 끼워 넣었다.

내가 모은 빛나는 문장들처럼 ‘놀랄 만한’ 문장이 내 글에도 한두 개쯤 박혀 있길 욕망했다. 아니, 그래야 글이었다.

“저는 늘 제가 뛰는 모습을 한 번도 본 적이 없는 사람이 관중석에 적어도 한 명은 있다는 생각을 해요. 그 사람을 실망시키고 싶지 않았습니다.” 윌리엄 진서의 <글쓰기 생각쓰기> 에서 본 이 문장이 머릿속을 떠나지 않았다. 글 쓰는 자세를 고쳐 주었다.

“자기만의 길을 가는 이는 누구와도 만나지 않는다”라는 니체의 말은 ‘나는 너무 뒤처진 게 아닐까’ 비관하는 늦깍이 작가에게 자기만의 보폭으로 길을 가도록, 자기만의 목소리를 찾아가는 글을 쓰도록 힘을 실어 주었다. 니체의 문장이라는 연료를 넣은 덕분에 나의 글쓰기는 휘청일지언정 멈추지 않을 수 있었다.

문장을 ‘인용’하는 것만으로 문장을 만드는 기술이 늘지는 않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좋은 문장을 ‘인용’하고, 사고하는 과정을 통해 글 쓰는 사람의 내면이 만들어집니다. ‘인용’한 문장이 생각을 자극하여 글의 소재가 만들어지기도 하고요. 은유 작가의 <쓰기의 말들> 책이 바로 그 증거죠.

책 읽기, 필사, 인용 - 목적을 가지고 의식적으로 하라

책 읽기, 필사, 인용은 글쓰기 향상과 상관이 있습니다.
글쓰기 향상에 도움을 줍니다. 다만, 제대로 할 때만 그렇습니다.

건성건성 책을 읽고, 아무 생각 없이 글자를 베껴 쓰고, 멋있어 보이는 문장을 생각 없이 인용하면 당연히 글쓰기에 아무런 영향을 끼치지 못합니다.

생각의 낚싯대를 드리우고 책을 깊이 읽어야 합니다.

글의 구조와 표현을 눈여겨보며 문장을 음미하면서 필사를 해야 합니다.

문장을 인용하면서 그 의미를 숙고하고, 삶과 글에 연결해야 합니다.

책 읽기, 필사, 인용을 꾸준히 하면 반드시 글쓰기에 도움이 됩니다.
목적을 가지고 의식적으로 해보세요.

댓글